내 git에 코드들을 올려보자
2. 기본 명령어
git init : 새로운 local repository 생성
git add : 새로운 repository에 저장
git commit : 새로운 local repository 생성
git push : local repository를 romote repository에 업로드
1.git을 먼저 설치한다.
2.Github에 소스코드 올리기
2-1. 깃허브 홈페이지에서 레포지토리 생성
2-2. 터미널에서 업로드 할 파일 폴더로 이동
2-3. git init (폴더를 git이 추적할 수 있도록 .git폴더를 생성. 즉 local lopository 생성)
2-4. 상태확인 (git status -> 버전관리 대상 파일들의 상태를 파악)
2-5. git add .(버전 관리할 파일들을 추가)
2-6. git commit -m "메시지내용" (간단하게 커밋 내용 작성할때 작성하고, 메세지가 길어진다면 git commit 명령어 실행)
2-7. 깃허브 https 주소를 복사해서 remote repository 등록.
git remote add origin {remote repository 주소}
*remote repository의 주소를 입력하는게 귀찮으니까 origin이라는 remote repository의 별칭을 사용한다.
( + 브랜치 이름을 변경코자 한다면 git branch -M main (여기를 원하는 것으로 변경) )
2-8. push origin master (commit 한 내용을 remote repository에 push)
*master는 브랜치의 이름으로 레포지토리를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master 브랜치가 생성된다.
master가 아닌 다른 브랜치로 push 하고 싶다면 push origin{브랜치명} 으로 실행하면됌.
**브랜치 : 독립적인 작업 공간(나무에서 나오는 나뭇가지를 생각)
첫 push 이후에는 위 과정을 매번 거치지 않아도 됌.
gitadd.git commit -m "메시지내용"
git push origin {브랜치명}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 commit --amend로 커밋 메시지 수정하는 법 (1) | 2024.12.17 |
---|---|
Git에서 Author, Email 변경하는 법 (0) | 2024.12.17 |
깃 충돌, 커밋, 머지 해결하기(feat.vscode 터미널) (2) | 2024.11.18 |
Git 기초에 대해서 알아보자 (1) (0) | 2023.08.17 |